본문 바로가기
IT기술/정보

DID vs PASS vs 마이데이터 – 인증 수단, 뭐가 더 안전할까?

by 갓난토끼 2025. 5. 8.
반응형

DID vs PASS vs 마이데이터 – 인증 수단, 뭐가 더 안전할까?

본인 인증 수단이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PASS, 마이데이터, DID(디지털 신분증)까지…
그렇다면 이 중에서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식은 무엇일까요?

이 글에서는 각 인증 방식의 차이점과 보안성, 사용 범위를 비교해
나에게 맞는 인증 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1. 각 인증 수단 한눈에 보기

  • PASS: 통신 3사 제공. 휴대폰 번호 기반 본인 인증 서비스
  • 마이데이터: 금융위 주관. 금융정보 통합조회 및 제공
  • DID: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분증. 분산신원인증

2. 비교표 – 뭐가 어떻게 다른가요?

항목 PASS 마이데이터 DID
주요 용도 간편 본인 확인 금융정보 조회 및 전송 디지털 신분 인증
운영 주체 통신 3사 금융위원회/마이데이터 사업자 정부 + 민간 DID 연합
보안 방식 SMS/비밀번호 기반 OAuth2.0 + API 생체 인증 + 블록체인
정보 제공 범위 주민번호, 이름 등 기본 정보 계좌, 대출, 카드 내역 등 필요한 정보만 선택 제공
위조 위험 유심 복제 취약 API 해킹 가능성 블록체인으로 위조 불가
주요 사용처 쇼핑, 보험, 인증서 은행 앱, 자산관리 공공기관, 편의점, 온라인 본인 확인

3. 상황별 추천

  • 간단한 실명 확인 → PASS
  • 금융 데이터 통합 관리 → 마이데이터
  • 보안 + 정보 최소 제공 + 정부기관 인증 → DID

4.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

정부는 앞으로 전자지갑 기반으로 다양한 인증 방식을 통합할 예정입니다.
즉, DID 기반 디지털 신분증 하나로 운전면허증, 금융정보, 성인인증까지 모두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인증 수단별 대표 앱 예시

  • PASS: 통신 3사 제공 인증 앱 (SKT, KT, LGU+)
  • 마이데이터: 토스, 뱅크샐러드, 핀크 등 금융 통합 서비스
  • DID: 정부24 디지털 신분증, 마이키핀, 이니셜 등

자주 묻는 질문 (FAQ)

Q. DID는 모든 사이트에서 쓸 수 있나요?
A. 2025년부터 공공기관을 시작으로 점차 민간 플랫폼까지 확산될 예정입니다.

Q. PASS랑 DID를 동시에 써야 하나요?
A. 둘은 병행 사용이 가능하며,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Q. DID는 어떻게 발급하나요?
A. 정부24 또는 PASS 앱에서 디지털 신분증을 신청하거나, 마이키핀 등 DID 연동 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 글 추천


PASS, 마이데이터, DID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보안성과 정보 통제력을 고려한다면
앞으로는 DID 인증이 중심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2025년 디지털 신분증 시대, 지금부터 비교하고 선택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