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D 관련 용어 정리 (VC, Holder, Issuer, Verifier 등)
DID(Decentralized Identity, 분산 신원 인증) 기술이 점점 다양한 분야에 도입되면서, 함께 등장하는 기술 용어들도 많아졌습니다. 그러나 일반 사용자에게는 VC, Holder, Issuer, Verifier 같은 개념이 다소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DID 생태계를 구성하는 핵심 개념과 역할자에 대한 용어 정리를 통해, DID 기반 인증 시스템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1. DID (Decentralized Identifier)정의: 중앙 기관 없이 개인 또는 기관이 생성하고 관리하는 고유한 식별자형태: did:example:123456789abcdef역할: 블록체인에 등록된 ‘디지털 신분 번호’로, 신원을 증명할 때 사용특징: 위·변조 불가능..
2025. 4. 14.
DID 기술의 미래, 탈중앙 신뢰 인프라로서의 가능성
DID(Decentralized Identity)는 단순히 디지털 신분증이나 본인 인증 수단을 넘어서, 앞으로는 국가, 기업, 개인 간 신뢰를 연결하는 탈중앙 인프라의 핵심 기술로 진화할 가능성이 큽니다.이번 글에서는 DID 기술이 어떻게 미래 사회의 신뢰 구조를 재편할 수 있는가, 그리고 DID 기반 인프라가 사회, 경제, 기술 전반에 걸쳐 어떤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1. 탈중앙 신뢰 인프라란 무엇인가?기존의 신뢰 시스템은 특정 기관이나 플랫폼에 집중되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주민등록증은 정부가, 로그인은 구글이나 네이버가, 결제는 카드사가 중앙 주체로서 인증 권한을 독점했습니다.반면, 탈중앙 신뢰 인프라는 블록체인 및 DID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 기관, 플랫폼이 서로를 검증하..
2025. 4. 14.